반응형
Spring boot : 프레임 워크
1. 내장 톰켓(Tomcat)을 가진다
톰켓 :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의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(Web Application Server = WAS)
자바 서블릿을 실행시키고 JSP코드가 포함되어 동적 웹 페이지를 구동 시켜주는 프로그램
JSP(Java Server Pages) : HTML코드에 Java코드를 넣어 동적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도구
웹서버(Web Server) :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
Servlet :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해 서버에서 실행 되어야하는 Java프로그
서블릿 컨테이너 (Survlet Container) : 서블릿의 생성,실행,파괴를 담당한다 -> 서블릿들의 위한 상자
역활
1.통신 지원, 2. 생명주기 관리, 3. 멀티 스레딩 관리, 4. JSP지원
구조를 모르면 직접 그리면 보세요 그러면 훨씬 이해가 잘 되요.
3. Web.xml: web application의 설정을 위한 배포 서술자 (XML 형식)
역할 :
1. 배포시 각 어플리케이션 환경을 설정하는 역할
2. 서버가 처음 로딩 될때 읽혀서 해당 환경 설정을 tomcat에 전달
-배포할 Servlet의 정보 , 각각의 Servlet이 매핑되는 URL정보
4.FrontController 패턴 : Spring MVC가 사용하는 패턴 동일 주로 공통 기능 처리
1. Request Dispatcher : 필요한 클래스 요청이 도달 했을때 FrontController에 도착한 request 와 reponse를 그대로 유지 시켜준다.
2. Dispatcher-Servlet : dispatcher = 보내다 => HTTP 프로토콜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아 적합한 컨트롤러에 위임해주는 프론트 컨트롤러
5. ApplicationContext :
IoC 제어의 역전의 개발 방식에서 개발자가 직겁 제어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,
외부의 프레임워크 나 라이브러리가 제어 흐름을 대신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.
DI (Dependency Injection) : 의존성 주입
: 사용할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외부 컨테이너가 생성한 객체를 주입받아 사용하는 방식
- 생성자를 통한 의존성 주입 , 필드 객체를 통한 의존성 주입 , setter를 통한 의존성 주입
이거 나중에 이구조 꼭 그림 그려 보기
반응형
'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PA 필터 (0) | 2024.12.14 |
---|---|
final (0) | 2024.11.28 |
Spring Boot 기초 개념 (0) | 2024.11.24 |
용어 정리 -1 (0) | 2024.10.23 |
용어 정리 (0) | 2024.10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