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SpringBoot8 서블릿 컨테이너 구조 웹 서버(Web Server) : WWW(Word Wide Web)을 이용한 통신 프로토콜 =>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 기능 : 클라이언트 서버 통신, http 통신 프로토콜 서블릿 컨테이너 : 서블릿들의 생성 실행 파괴를 담당 => (서블릿을 위한 상자) 서버에서 서블릿 컨테이너에 의해 서블릿은 관리된다. 역할 웹 서버와 통신 지원 : 서블릿과 웹 서버가 손쉽게 통신할 수 있게 해 준다 서블릿 생명 주기 관리 (Life Cycle) 관리 멀티 쓰레드 지원 및 관리 : 요청이 올 때마다 새로운 자바 스레드를 하나 생성, Http 서비스 메서드 실행하고 나면 스레드 자동 소멸 된다 선언적인 보안 관리 : 서블릿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보안에 관련된 내용을 .. 2025. 2. 18. 이미지 등록 DB에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법 1.Blob( Binary Large Object ) : 자료형을 사용하여 저장하는 방식 -> 이진데이터 저장하는 방식 이진 데이터 : 0,1로 이루어진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성능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.비용 처리가 크다.2.Base64 : 64진법 쉽게 생각 아스킨 코드 문자 하나라고 생각하면 된다. -> 이미지의 이진 데이터를 Text 형태로 바꾸는 Encoding 하는 방법 인코딩 : 원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읽을 수 없는 형태로 변환 (비밀번호 때 사용함)데이터 해킹 방지, 부적절한 접근 방지 디코딩 : 인코딩 된 데이터를 원래 형태로 복원하는 과정 주로 데이터 보호, 암호화된 통신, 데이토 압축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저장하고 가져오는 방식.. 2025. 1. 21. JPA 필터 JPA 필터 : JPA에서 데이터 베이스 조화 시 특정 조건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필터링라는 기능 제공 -> spring boot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필터 기능들이 있음( 너무 많음)스프링 자체 필터 필터 => 일명 문지기 : 조건이 맞지 않으면 들어가지 못가 하는 하는 역할 임무: 조건을 준다. 직접 필터 생성이 가능하다 그 구조는 예를 들어서 그렸음 인터셉터(intercepter) : 낚아채다 -> request 객체를 컨트롤러의 핸들(사용자가 요청한 URL에 따라 실행되어야 할 메서드 )로 도달하기 전에 낚아채서 개발자가 원하는 추가적인 작업을 한 후 핸들러로 보낼 수 있는 해주는 것 컨트롤러의 핸드러(Handler)를 호출하기 전과 후에 요청과 응답을 참조하거나 가공할 수.. 2024. 12. 14. final private final BlackListService blackListService; final :자바에서 변수를 한번 초기화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.private final BlackListService blackListService; VS private BlackListService blackListService; 차이점 final이 있는 경우=> 일반적으로 변수를 선언하면 초기화해야 하며 이후에는 값을 변경 못함 => 객체가 한번 초기화되면 변경할 수 없으면 코드의 불변을 보정 + 안전성까지 => 코드의 가독성이 증가 비 final인 경우 => 객체의 참조가 다른 객체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, 코드의 상태가 예기치 않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버그를 유발할 가능성 증가 => 변수를 .. 2024. 11. 28. Spring Boot 기초 개념 구조가를 잘 모르겠으면 한번 직접 그려보세요 Controller(컨트롤러) : 사용자 화면(View)단 에서 입력이나 어떤 이벤트를 했을 경우 그 이벤트에 맞는 화면(View)이나 비지니스 로직을 실행할 수있도록 업데이트 해준는 역활이다 => Model과 View를 연력해 서버에서 기능별 URL이라는 API 개설해 놓았고 클라이언트(Client)는 필요한 정보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요청한다 => Controller는 이런 창고 역활을 하는API를 모아놓은 클래스.=> @Controller어노테이션: 컨트롤러 클래스에 라우팅 할 수 있도록 요청 URL에 대해 해당하는 메소드 매핑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@RequestMapping어노테이션을 사용 라우팅(Routing) : 가장 효율.. 2024. 11. 24. Spring boot 기초 개념 동작 원리 Spring boot : 프레임 워크 1. 내장 톰켓(Tomcat)을 가진다 톰켓 :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의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(Web Application Server = WAS)자바 서블릿을 실행시키고 JSP코드가 포함되어 동적 웹 페이지를 구동 시켜주는 프로그램 JSP(Java Server Pages) : HTML코드에 Java코드를 넣어 동적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도구 웹서버(Web Server) :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 Servlet :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해 서버에서 실행 되어야하는 Java프로그서블릿 컨테이너 (Survlet Container) : 서블릿의 생성,실행,파괴를 담당한다 -> 서블릿들의 위한 상자 역활 1.통신 지원, 2. 생명주기 관리,.. 2024. 11. 23. 이전 1 2 다음 반응형